[알쓸주지] 안전한 주식투자의 기본! PER, PBR, ROE, EPS 간편 정리

나의 투자 정보

[알쓸주지] 안전한 주식투자의 기본! PER, PBR, ROE, EPS 간편 정리

두더지 줍줍이 2022. 3. 9. 06:13
반응형

안녕하세요. 두더지입니다.
오늘은 알아두면 쓸모 있는 주식 지식[알쓸주지]을 가지고 왔습니다.
안전한 투자시 꼭 알고 있어야 하는 PER, PBR, ROE, EPS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PER, PBR, ROE, EPS는 가장 기본적으로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주식의 저평가, 고평가 등을 표현할 때도위의 4개의 지표를 보고 판단하게 됩니다.

 

1.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를 1주당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PER이 1인 경우 기업이 1년 일하면 이 기업을 1개 더 살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럼 PER 10이면?
이 기업 1개를 사기위해서 10년간의 이익을 모두 모아야 합니다.

PER이 높으면 고평가 되어있다고 많이 이야기하는데 미래 성장산업의 경우 대체로 PER이 높고 기존 산업들의 경우 대체로 PER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2. PBR

PBR은 Price on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것입니다.

순자산은 총자본
또는
총자산 - 총부채로 나타냅니다.

이 PBR은 기업이 망했을 당시 주식 대신 현금으로 청산받을 수 있는 돈이며

PBR = 1 이면
기업이 가진 자산이 주가와 같다.
PBR = 1 보다 작으면
기업의 순 자산가치만큼도 안된다는 뜻입니다.

 

 

3. ROE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 자본 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자기 자본 이익률이란?

기업이 투자한 돈(자본)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는 다른 지표와는 다르게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것이므로

주식투자하실 때  그 기업의 ROE만큼은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4. EPS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주식 1주당 창출한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해당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냅니다.

EPS는 순이익을 전체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ROE와 마찬가지로 투자하기에 좋은 주식임을 나타냅니다.



물론 주식이 위의 지표대로만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전체적인 한국의 상황
전 세계의 상황
그 기업의 업계 시장 변동성, 경쟁회사, 오너리스크 등
이것저것이 복합적으로 적용이 되므로 참 어려운 게 주식입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이 4개의 지표를 확인하시고 투자를 하신다면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매수하는 무지 성매수자들보다는
수익률이 좋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