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두더지입니다.
이번에는 IRP에 투자할만한 상품 중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달러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연금저축펀드에 우선 400만 원을 투자하고 나서 연금에 더 투자하고 싶으신 분들이 찾아 IRP
세금우대도 좋고 하지만, IRP의 최대단점인 안전자산에 30%를 투자해야 하는 단점이 있죠.
저 같은 불나방의 경우 안전자산 30% 투자는 너무 가혹한 단점인데요
그래도 간단하게 투자할 수 있는 안전자산 ETF인 TIGER 미국 달러 단기채권 액티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의 기초
- 운용회사 : 미래에셋투자증권
- 운용목표 : ETF 순자산가치의 변화가 지수 변화를 초과하도록 운용
- 산출기관 : KIS채권평가(주)
- 구성종목 : 잔존만기 1개월 초과 1년 이하의 미국채로 지수의 듀레이션이 6개월 내외가 되도록 종목 구성
- 산출방법 : 액면기준 동일비중
- 총보수 : 연 0.3%
- 환해지 : 미실시
- 분배금 : 없음
TIGER 미국 달러 단기채권 액티브의 구성종목
다른 거는 잘 모르겠으나, 원화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애플 관련 채권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됩니다.
원화를 제외하고 총 18개의 미국 채권에 투자 중입니다.
TIGER 미국 달러 단기채권 액티브의 투자의견
IRP의 안전자산 투자 30% 룰 때문에 이 글을 보시는 분이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또한 IRP가 아니더라도 달러에 투자하고 싶어서 보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달러에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 환전우대를 받아 달러를 사서 가지고 있는 방법
- 환전우대를 받아 달러를 사서 달러 계좌에 보관하는 방법
- 은행의 달러 예금에 가입하는 방법
-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달러 ETF를 매수하는 방법
- 증권사 달러 RP를 매수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1,2,3번의 경우 별로라 생각되며,
연금저축펀드와 IRP를 투자하는 경우 연말정산 세제혜택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4번인 달러 ETF를 매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생각합니다.
이 종목은 순수하게 달러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 아닌 단기채권을 통해 원달러의 환율 변동보다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종목이기에 다른 달러선물 ETF보다 더욱 좋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가장 유심히 봐야 하는 것이 달러의 가치를 그대로 잘 추종하고 있는지를 확인해봐야 합니다.
위 차트에서 우리가 봐야 할 것은 회색의 시장 가격과, 빨간색의 기초지수만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기초지수는 원달러 환율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회색은 잘 보이고 있지 않으나, 거의 주황색인 기준 가격과 동일하게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지수인 원달러 환율을 거의 동일하게 추종하고 있으므로, 이 종목에는 투자하기 좋다고 생각됩니다.
달러의 경우 대표적인 기축통화로서 세계의 위험이 생겼을 때 많은 사람들이 기축통화인 달러를 사려고 합니다.
그래서 달러의 가격이 시장이 불안하거나, 코로나 팬데믹, 전쟁 등 불안요소가 발생하였을 때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980년대부터 시작한 달러 차트를 보면 우리나라에 IMF가 발생하였을 때 2,000원, 2008년 리만브라더스 사태 때 약 1,600원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발생으로 약 1300원까지 오르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08년 이후 2010년부터는 대체로 1000원 ~ 1200원 사이의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이 종목은 원달러 환율을 거의 그대로 추종하는 ETF이기 때문에 달러의 가격이 낮을 때 사는 것이 유리한 종목입니다.
앞으로 달러의 가치가 더욱더 오를 거라 생각하시면 지금 바로 사셔도 좋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다시 1천 원대 초반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국룰? 처럼 1천원 초반에 매수를 하시고, 1200원에 가까이 되었을 때 매도를 하시면, 큰 수익을 내실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이 글은 거래를 유도하는 글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과 결과는 본인에게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펀드] KOSEF 국고채 10년(Feat. IRP) (0) | 2022.05.11 |
---|---|
[연금저축펀드] KINDEX 미국고배당 S&P 알아보기 (0) | 2022.05.03 |
[연금저축펀드] KODEX 삼성그룹 ETF (0) | 2022.05.02 |
[연금저축펀드] KODEX 200 알아보기 (0) | 2022.04.28 |
[연금저축펀드] TIGER 2차전지테마 ETF 알아보기 (0) |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