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두더지입니다.
오늘은 주택청약저축 통장 현명하게 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약통장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주로 넣는 금액이 2만 원 5만 원 10만 원 20만 원 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2만 원 5만 원이 아닌 10만 원 20만 원씩 매월 넣고 있으면 목돈이 통장에 썩고 있는 거 같아서 아쉬워하는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과연 청약 통장에는 얼마나 돈을 넣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 금액
다들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시기 위해서 많은 돈을 청약통장에 넣고 있으시며, 묵혀 있는 돈도 아깝다고 생각되실 거기에
얼마나 넣어야 청약통장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하실 텐데 딱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600만 원!!
무슨 600만 원 밖에 안되냐고 하실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뉴스에서 보면 수천만 원 들어 있고, 20~30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커트라인으로 당첨되었다 라는 뉴스도 최근에 많이 나와서 의아해하실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 경우는 일반공급의 경우 가점이 높아야 하기 때문에 그런 겁니다.
물론 민간분양에서는 대체로 일반공급보다는 특별공급의 공급수가 적으며, 면적에 제한도 많이 걸려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라면 청약금액이 엄청 많은 것도 아니고, 청약 가점도 높지 않은 분들일 거라 생각하고 있어
특별공급을 희망하는 분들에 한해서 말씀드리는 거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민간분양에서는 작은 평수 위주로 일반공급과 특별공급의 수가 비슷하게 나오며, 공공분양에서는 특별공급을 약 80%나 공급하기 때문에 우리는 특별공급을 노려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이제 왜 600만 원인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위에 보여드린 청약 예치 기준금액을 보시면 300만 원에서 1500만 원까지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왜 600만 원이냐?
우선 특별공급의 경우 102㎡ ~ 135㎡ 사이의 면적을 공급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소형평수 위주로 많이 공급하는 시기에 135의 경우 매우 고가의 청약이기에 1500만 원까지는 필요 없다 생각됩니다.
그럼 금액 말고도 가입하여 6~24개월 이상 경과하고 매월 약정납입일에 월 납입금을 가입해야 하는 조건도 있습니다.
위의 특별공급 신청자격에서도 기관추천, 다자녀, 신혼부부의 경우 6개월 이상 납입, 노무 보부 양, 생애최초의 경우 24개월 이상 납입해야 하는 조건이 있으며, 지역별/면적별 예치금 이상인자라고 적혀 있습니다.
여기서 지역별/면적별 예치금 이상인자는 위에 있는 청약 예치 기준금액을 보시면 되는데 102㎡이하의 경우 600만 원이면 전국 어디든 청약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이 아닌 청년층에서는 사실 불입액 기준으로는 밀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청년층에서 할 수 있는 것은 특별공급을 신청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을 세팅해 두면 되는데 이것이 600만 원 되겠습니다.
물론 청약통장 가입은 미리미리 빠르게 해 놓아야겠죠.
그럼 이제 또 다른 질문으로 기관추천, 다자녀, 신혼부부의 경우 청약통장이 가입한 지 6개월 이상에 예치금 600만 원을 넣어야 하니까 적금처럼 월 100만 원씩 6개월 넣으면 되는 거냐 물으실 수도 있는데, 그렇게 하셔도 되는데 월 10만 원까지만 인정되니까 월 납입금액은 10만 원씩 넣는 거를 추천드리겠습니다.(통장에 600만 원이 쌓일 때까지)
그럼 600만 원을 10만 원씩 넣어서 만들려면 60개월(5년이) 필요할 거라 생각되는데요.
청약 조건에 선납금을 포함해 600만 원 이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 말은 즉 월 10만 원씩 넣고 있다가 원하는 청약단지가 발생하면 청약 공고 전날까지 일시불로 통장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2. 청약통장 담보 대출
이미 600만 원을 넘어 많은 금액을 넣으신 분도 있을 것이며, 600만원 미만으로 넣었으나 이 묶여 있는 돈이 아까워서 종종 해지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청약저축통장의 경우 장기간 보유할수록 가점제 기준으로는 유리한 편이 있기 때문에 절대 해지하시면 안 됩니다.
청약통장을 해지하지 마시고 은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중에 "예금담보대출"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예금담보대출을 이용하여 우리가 가진 청약통장을 담보로 대출을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어플들을 이용하여 손쉽게 담보대출을 받으실 수 있으시며 담보대출 이자는 현재의 금리, 통장잔고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확인해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조건은 2022년 4월 말 기준이며 추후에 정책이 변경되어 공급 신청자격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생활 속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톡 광고 차단하기(채널 차단) (0) | 2024.04.02 |
---|---|
2023년 할만 한 앱테크 목록(간편하고 쉬운것들) 코인X (0) | 2023.01.09 |
PCR 무료 검사 대상 알아보기 (0) | 2022.03.20 |
3월 16일 변경된 코로나 격리자, 재택치료자 생활지원금 안내 (0) | 2022.03.16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목적물 변경, 이사) (1) | 2022.03.07 |